넷플릭스에 새로 올라온 국내 영화 '정이'를 보았습니다. 현재 국내 1위 라고 올라온 영화라니 안 볼 수 없죠.
아래에는 개인적인 후기와 함께 스포 섞인 결말이 접은글로 들어가 있으니 보시기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'정이'가 누구냐?
정이는 우주쉘터 내전 시절의 한국인 용병 영웅입니다.
그리고 영화의 시점은 정이가 작전 중 식물인간이 된 35년 후의 이야기입니다.
그래서 '정이'가 어쨌길래?
늘 그렇듯 기후 변화로 망해버린 지구, 그리고 인류는 우주에 쉘터를 만들며 내전을 하던 중 정이는 식물인간이 됩니다. 정이에게는 딸이 있었는데 사고 이후 딸의 병원비와 생계 비용을 일체 지불하겠다는 군수업체에게 정이의 뇌와 모든 데이터 권한을 위임합니다.
35년 뒤 정이의 딸은 그 회사의 연구소에서 정이의 뇌 데이터를 사용한 용병 AI를 연구하는 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. 정이의 뇌를 그대로 구현한 AI의 마지막 테스트는 정이의 마지막 사고 현장 시뮬레이션입니다. 하지만 테스트는 실제 정이가 실패한 것 처럼 매번 같은 곳에서 실패합니다.
후기
영화를 보기 전에 이미 후기가 안좋다는 얘기를 먼저 들었는데, 정말 재미없는지는 보고나서 결정할 일이 아니겠어요? 그래서 영화를 감상한 솔직한 후기를 적어봅니다.
스토리 : 인간의 뇌를 기계에 이식하는 뇌이식 기능 구현이 가능한 시대에 인간의 범주와 인격을 누가 어떻게 정하는가에 대한 심오한 고찰을 해볼 수 있습니다.
연출 : 다소 부자연스러운 대사와 연출, 이 연기자는 감독이 이렇게 주문했기 때문에 이렇게 연기를 하는 것일까 아니면 이렇게 해석했기 때문에 이런 연기를 하는 것일까, 누구를 만족시키려는 연기일까, 이것이 직장인의 비애인가에 대한 고찰을 해볼 수 있습니다.
개인적인 결말/후기 *스포있음*
더보기를 누르면 보입니다.
이 영화의 주인공인 안드로이드는 정이 뿐이 아니었죠. 되도 않는 농담과 말투가 어색하였다는 후기를 받은 연구소장이 사실 기업 회장의 뇌 데이터를 이식한 안드로이드였습니다.
이 둘은 계속 대조됩니다.
영웅이라던 정이는 돈이 없어 가장 낮은 C등급 이식으로 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기업소유의 상품 데이터가 되었지만, 회장의 뇌 데이터를 이식한 안드로이드인 연구소장은 마치 회장이 그랬 듯 직원들을 부리는 자리에 앉아있습니다.
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둘에 대한 인간들의 대우는 같습니다. 회장은 이렇게 말합니다. 자신의 뇌를 그대로 스캔해서 안드로이드로 구현하면 내가 영생을 살 줄 알았지만 결국 안드로이드는 자신이 될 수 없다고요.
그 말대로 연구소장이 AI인줄 모르는 연구소 직원들은 그가 아무리 성격파탄자처럼 굴어도 반발하지 못하는 반면, 그의 실체를 아는 본사 직원들은 연구소장을 대놓고 무시하기도 합니다.
같은 인격이라 할지라도 그 근본이 인간이냐 복사본이냐에 따라 대우가 다른 셈입니다. 아무리 인간의 뇌를 그대로 옮겨놓았다 할지라도 그것만으로 사람이라고 인정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네요. 혁신적인 뇌 이식 기술로 만들어낸, 실제 인간의 뇌를 구현한 AI는 결국은 상품으로써의 가치를 가질 뿐, 인간으로서는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모습입니다. 인간의 욕심이 만들어 낼 수 있는건 거기까지인가봅니다.
결국 마지막에 정이는 살고, 연구소장은 죽습니다. 둘 다 사람이 만들어낸 로봇일 뿐인데 마치 전통적인 권선징악처럼 마무리가 되었군요.
회장 자신의 영생을 위해 만들었던 유일한 안드로이드는 회장에게 버림받았고, 군납용 AI개발을 위해 대량 생산된 정이는 자신의 딸의 희생으로 새 삶을 시작하게 됩니다. 각 아이템의 개발 목적과는 정 반대인 상반되는 결말이네요.
결론 :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다.
'리뷰 TALK > 영화 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넷플릭스 영화추천] '보이저스' 영화 결말/후기 (0) | 2023.01.17 |
---|